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사건, 예방법

by 뉴스 진행자 2023. 7. 23.
반응형

미국에서 뇌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사건이 또 발생 했다고 합니다.

미국 네바다주 보건당국은 최근 2살 아이가 뇌먹는 아메바에 감염되어 사망 했다고 밝혔습니다.

뇌먹는 아메바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Naegleria fowleri) 인데, 생물 분류로 보면 계 에서 부터 갈라져 계통 분류학상 유연관계가 멀다고 합니다. 자유 아메바로 불려야 한다는데 너무 어려우니 편의상 아메바로 불리운다고 합니다.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뇌먹는 아메바로 불린다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사진 출처 = 미국 CDC]

뇌먹는 아메사 사망사건 감염 경로

미국 보건당국은 링컨 타운티의 천연온천인 애쉬 스프링스에서 아메바에 감염되었을 확률이 있다고 추정했다고 합니다. 이아메바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세포의 살아있는 아메바이며 여기에 감염되면 뇌 조직을 파괴하고 아메바성 뇌수막염이라는 희귀 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발표 했습니다.

이 아메바는 물속에서 사람의 코를 통해 뇌에 침투할 경우 세포를 파먹고 부종을 일으켜 대부분 사망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아메바라고 합니다.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의 처음 발견

1065년 호주의 병리학자 말콤 파울러(Malcolm Fowler) 박사에 의해 발견 되었으며, 민물이나 토양등에서 흔이 발견되는 생물로 전세계 곳곳에 발견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1960년대 부터 2020년까지 뇌먹는 아메바에 감염되어서 확인된 환자는 151명에 달하며 이중 147명이 목숨을 잃은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무려 사망률이 97.3%에 달합니다.

주로 25~46°C 사이에서의 따뜻한 연못,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영하거나, 오염된 수돗물을 사용하는 등으로 코에 물이 들어가면, 이 아메바가 아주 드물게 비강점막을 통과해 후각 신경을 따라 올라가는데, 중간에 면역 세포가 제거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뇌척수액까지 침투하면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PAM)을 일으킨다.

 

예방법

소독이 되지 않는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물가에서 수영을 피하고 코에 물이 들어가는것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코 세척을 할 때에도 수돗물을 끓여서 사용하거나 전용 식염수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코에 물이 들어가도 부비동까지 완전히 안들어가게 하는게 중요하며 다이빙 마스크나 노즈 클립등 사전 코에 물이들어가는걸 사전 차단 해 줄 수 있게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1건의 해외감염 사례가 있지만 국내감염사례는 없습니다. 감염될 확률은 거의 없다 시피 하지만 해외에서 위생적이지 못한 곳에서 수영을 할 때가 있다면 꼭 주의 해야 할듯합니다. 극 소수의 감염확률이지만, 나에게 또는 가족에게 감염된다면 100%의 확률이니까요.

반응형